SICOL-2022
Conference Summary

The 2022 Seoul International Conference on Linguistics (SICOL-2022)

  • 주제: Language in Interaction: New Perspectives and Approaches
  • 일시: 2022. 8. 11(목)-12(금)
  • 방식: 실시간 온라인 Zoom 접속
  • 주최: 한국언어학회·성균관대 영어영문학과 4단계 BK21 교육연구단
  • 프로그램: 프로그램 파일 내려받기
    • 개요: 초청 발표 3편, 실험통사론 튜토리얼 및 55편의 일반세션/특별세션 논문 발표
    • 프로그램 파일: 아래의 학술대회 홈페이지에서도 다운로드 가능함.
  • 발표 초록 모음 핸드북: 핸드북 파일 내려받기 (주의: 25.6MB 대용량 파일)
    • 핸드북 파일: 아래의 학술대회 홈페이지에서도 다운로드 가능함.
  • 학술대회 홈페이지: http://sicol2022.creatorlink.net
  • 학술대회 참가 등록: 무료 (등록비 없음)
    • 학회 회원, 발표자 및 진행자: 별도의 등록 절차 없이 참여 가능. 7월 중순 경 학술대회 Zoom 회의룸 정보 발송 예정.
    • 기타 참가 희망자: 아래 사이트에서 온라인 등록 신청을 완료한 분들에게 7월 중순 이후 Zoom 회의룸 정보를 이메일로 발송해 드림.
    • 온라인 참가 신청: https://forms.gle/ckBcVMVcQ2SvgT9J6
      *학술대회 홈페이지 “Registration" 탭에 방문하여 신청도 가능함.
  • 학술대회 관련 문의: 학회 이메일 (linguistics2122@gmail.com) 및 이한정 프로그램 위원장 (sicol2022@gmail.com 또는 hanjung@skku.edu)

 

SICOL-2022
Call for Papers

The Linguistic Society of Korea (LSK) is pleased to announce the 2022 Seoul International Conference on Linguistics (SICOL-2022) to be held online from August 11-12, 2022.

The theme for SICOL-2022 is ‘Language in interaction: New perspectives and approaches.’ In the ag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we live in today, knowledge and data processed as information are making critical impact on human behavior, ways of thinking, values and operation of social structure. Information circulated in this age is presented, stored and exchanged in the form of language. As such, the study of language and language use is more important than ever to deepen our understanding of human behavior, ways of thinking and interconnections in a hyper-connected society.

SICOL-2022 provides a forum for the presentation of cutting-edge research focused on the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y of ‘language in multidimensional interaction’.

It will feature three invited presentations by the following distinguished scholars:

  • Taehong Cho (Hanyang University, Korea)
  • Klaus von Heusinger (Universität zu Köln, Germany)
  • Helen de Hoop (Radboud University, The Netherlands)

It will also feature a diverse array of sessions:

  • General sessions: papers from all areas of linguistics
  • Special sessions: papers addressing topics related to the conference theme
  • Tutorial organized by Nayoun Kim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 and June Choe (University of Pennsylvania, USA): Experimental syntax using IBEX/PCIBEX

The SICOL-2022 organizing committee welcomes abstract submissions for 20-minute oral presentations, followed by 10 minutes for discussion and questions. Topics may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subjects:

  • Interactions among language modules: New perspectives on or approaches to interactions or interfaces between language system’s internal modules such as phonetics, phonology, morphology, syntax, semantics, pragmatics and discourse
  • Language experience and language cognition: New perspectives on or approaches to language contact and the acquisition of a second or third language; and their impact on language change or language cognition
  • Language, media and communication: Data-oriented approaches to characteristics of language used by internet-based digital communication media or the use of language and communication in the hyper-connected society

Abstract submission guidelines:
Abstracts should be submitted via Easy Abstracts (EasyAbs) at

http://linguistlist.org/easyabs/sicol2022.

Follow the online guidelines to upload your abstract in either the .pdf or .doc(x) format. Note, however, that the .doc(x) format is acceptable only if the abstract contains no special fonts or diagrams. Only electronic submissions through the aforementioned link will be considered. Abstracts must be anonymous and may not exceed 2 pages (A4 or US letter), including examples (embedded within the text) but not references, with 2.54 cm (1 inch) margin on all four sides and should employ 12 point Times New Roman font. As references do not count toward the page limit, you are requested to include a full list of references on a third page. Submissions are limited to a maximum of one individual and one joint abstract per author, or two joint abstracts per author.

Conference website:
Please visit the following conference website and click the ‘Submission’ tab to find detailed submission guidelines:

http://sicol2022.creatorlink.net

All information about the conference will be available at this site. Participants are asked to check this site to keep up to date regarding possible alternations and changes.

Registration:
Participation is free. To attend the conference, all participants are asked to fill out and submit the registration form that will be made available at the ‘Registration’ tab of the conference website. After receiving your registration form, we will send you the information regarding our Zoom meeting.

Inquiries and contact:
Please direct any questions about abstract submission and other queries about the conference to the program committee chair: Hanjung Lee (sicol2022@gmail.com / hanjung@skku.edu).

Important dates:
Abstract submission deadline: May 31, 2022
Notification of acceptance: June 20, 2022
Conference dates: August 11-12, 2022

Conference Chair:
Minhaeng Lee (LSK president, Yonsei University)

Organizing Committee:
Jong-Bok Kim (Co-chair, Kyung Hee University)
Sanghoun Song (Co-chair, Korea University)
Munpyo Hong (Sungkyunkwan University)
Ilkyu Kim (Kangwon University)
Rhanghyeyun Kim (Korea University)
Eon-Suk Ko (Chosun University)
Joo-Kyeong Lee (University of Seoul)
Sang-Geun Lee (Korea University)
Seung-Ah Lee (Ewha Womans University)
Dongsik Lim (Hongik University)
Yunju Nam (Konkuk University)
Kang San Noh (Korea University)
Myung-Kwan Park (Dongguk University)
Seok-Chae Rhee (Yonsei University)
Hyunjung Son (Yonsei University)

Program Committee:
Hanjung Lee (Chair, Sungkyunkwan University)
Youngju Choi (Chosun University)
Arum Ka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Nayoun Kim (Sungkyunkwan University)
Say Young Kim (Hanyang University)
Heejeong Ko (Seoul National University)
Iksoo Kwon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Chung-Hoon Lee (Sogang University)
Jungmee Lee (Seoul National University)
Sun-Young Lee (Cyber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Hyehyun Nam (Yonsei University)
Bum-Sik Park (Dongguk University)
Hong Joon Um (Keimyung University)
Eunkyung Yi (Ewha Womans University)
Hongoak Yun (Jeju National University)

SICOL-2022 is co-hosted by the Linguistic Society of Korea (LSK) and the Department of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s Brain Korea (BK) 21 Education/Research Program of Sungkyunkwan University.

 

2022 LSK-시몬느
언어학 학교

개설 취지

한국언어학회는 2019년부터 ‘여름 언어학 학교(LSK Summer Linguistic School)’를 개최하여 빠르고 다양 하게 변화하는 최신 언어학 이론과 방법론을 언어학 연구자들과 학문후속세대에게 소개하고, 언어학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저변 확대를 꾀하고 있습니다. 지난 2019년에 (8.19 ~ 8.21) 개최된 언어학 학교는 9개의 언어학 이론 및 응용 분야의 집중강좌와 3회의 특강으로 진행되었습니다. 2021년 언어학 학교는 코로나 19로 인해 비대면 온라인 방식으로 전환하여 3일 간 (8.9 ~ 8.11) 6개의 언어학 핵심 이론 및 응용 분야의 집중강좌를 개설하여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한국언어학회는 언어학 학교를 지속적으로 개최하여 언어학 연구자들이 첨단 융합 학문으로 발전하고 있는 언어학의 다양한 관점과 연구 방법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는 기회를 확대해 나갈 것입니다.

2022 LSK-시몬느 언어학 학교

올해 언어학 학교는 글로벌 명품 핸드백 제조 기업인 ‘시몬느 액세서리컬렉션 (이하 시몬느, Simone)’의 후원으로 비대면 온라인 방식으로 개최됩니다. ‘언어의 이론적 연구와 그 응용 분야의 발전에 기여한다’는 학회의 목적에 부응하는 연구를 활성화하고, 인간 언어에 대한 과학적이고 창의적인 연구 수행 능력을 함양하고자 이번 언어학 학교는 3일 간 (8.8 ~ 8.10) 총 6개의 언어학 이론, 응용 분야 및 방법론에 관한 집중강좌로 구성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언어학의 대표적인 하위 연구 분야의 최근 쟁점과 방법론을 구체적으로 접해 볼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언어학 학교 개최를 이어갈 수 있도록 후원해 주신 ‘시몬느’의 박은관 회장님, 더운 여름 강의를 맡아 수고해 주실 여섯 분의 선생님들, 그리고 준비와 홍보에 참여하고 도와주신 모든 분들께 깊은 감사의 뜻을 전하며, 회원 여러분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공동 조직위원장 김종복·이한정 배상

수강신청 안내: 온라인 수강신청 링크: https://forms.gle/uJBjt8eULvakWepg7

강좌 소개

  • 담화화용론
    • 시간: 9:30 - 12:00
    • 강사: 박유정 (성균관대 영어영문학과)
    • 강좌 소개: 본 강좌는 화용론과 담화/대화 분석에 관심 있는 대학원생 및 초심자를 위한 입문 강의이다. 강의에서는 1) 화용론 연구의 핵심적인 개념들과 논의에 대한 개요를 제시하고, 2) 대화/담화 분석 연구 방법론과 주요 쟁점들을 다룬다. 구체적인 계획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날에는 대화 함축, 공손 이론, 전제, 화행 등 화용론의 주된 개념들을 다루고, 둘째 날에는 담화 분석과 맥락적 분석, 비판적 담화 분석, 문화 간 담화 분석을 소개하고 관련 연구들을 논의한다. 마지막 날 강의에서는 대화 분석 방법론의 역사와 주요 개념들을 소개하고, 다양한 기관 대화 분석 연구들을 다룬다. 수업에서 소개한 이론들이 한국 상황에서 어떻게 연구 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들도 다양하게 이루어질 예정이다.
  • 언어와 통계
    • 시간: 9:30 - 12:00
    • 강사: 전종호 (서울대 언어학과)
    • 강좌 소개: 본 강좌는 R을 사용한 혼합 효과(mixed effects) 통계분석에 대한 강의이다. 최근 언어학 연구의 실험 및 코퍼스 자료 분석에 주로 쓰이는 혼합 효과 선형 회귀(mixed effects linear regression)와 혼합 효과 로지스틱 회귀(mixed effects logistic regression) 모델의 구축 방법과 관련 내용을 살펴본다. 단순 선형 회귀(simple linear regression)에서 시작해서 상호작용/교호작용(interaction effect)과 범주형 변수(categorical variable)의 대비 코딩 체계(contrastive coding system) 등 일반적인 회귀 분석에 필요한 기본적인 지식 및 베이지언 통계에 대해서도 다룰 예정이다. 구체적인 강의 주제는 다음과 같다.
      • 고정 효과와 무선 효과(fixed vs. random effects)
      • 모형 비교(model comparison)
      • 대비 코딩 체계(contrastive coding system)
      • 상호작용/교호작용(interaction effect)
      • 빈도 통계와 베이지언 통계(frequentist vs. Bayesian statistics)
  • 언어습득 (음운론 기반)
    • 시간: 13:00 - 15:30
    • 강사: 윤관희 (대구대 영어영문학과)
    • 강좌 소개: 본 강좌는 음운 습득과 학습에 관한 기초 강의이다. 먼저 제1언어 습득에 관한 두 가지 주요 언어가설(내재적 문법, 출현문법)의 원리에 대해 개관하고, 제2언어습득 연구를 수행할 때 이 원리들이 어떤 함의를 지니는지 살펴본 후, 어떤 관점에서 제2언어학습에 관한 연구를 진행할지에 대한 방향성을 음운습득의 관점에서 고찰한다. 첫째 날에는 언어습득이론의 역사와 함의를 개관하고, 둘째 날에는 제2언어 음운 및 음운규칙 발화, 및 인지 연구를 살펴본다. 마지막 날 강의에서는 제2언어 음운처리 및 단어처리 연구를 살펴봄으로써 제2언어 학습자들의 심리적 어휘부에 등재된 음운 및 단어표기체계에 대해 심도 있게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 인지신경언어학
    • 시간: 13:00 - 15:30
    • 강사: 이성은 (서울대 독어독문학과)
    • 강좌 소개: 본 강좌는 인지신경언어학의 연구 분야 및 기본 방법론을 소개하는데 목표를 둔다. 특히 최근 인지신경언어학에서 가장 활발하게 활용하고 있는 방법론-행동반응측정, 뇌영상술, 안구운동측정, 머신러닝-을 직접 시연하고 실습하는 과정을 통해서 참가자들이 인지 신경언어학 연구를 직접 경험하는 기회를 갖게 된다. 또한 이러한 방법론을 활용하여 그동안 연구해 온 인지신경언어학 연구의 결과를 소개하고, 이를 통해 인지신경언어학의 대표적인 하위 연구 분야를 구체적으로 접해볼 기회를 제공한다. 날짜별 강의 주제는 다음과 같다.
      • 첫째날: 인지신경언어학의 연구분야, 인지신경언어학의 방법론 1: 반응시간 측정
      • 둘째날: 인지신경언어학의 방법론 2: 뇌영상술 EEG 뇌파측정법
      • 셋째날: 인지신경언어학의 방법론 3: 안구추적(eye-tracking) 및 머신러닝을 활용한 인지신경언어학 연구
  • 언어유형론
    • 시간: 16:15 - 18:45
    • 강사: 이지은 (고려대 BK21 사업팀)
    • 강좌 소개: 본 강좌의 목표는 언어유형론의 개관을 통해 언어유형론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높이는 동시에 참가자들이 특정한 현상과 주제의 최근 유형론적 연구에 대한 심도 있는 지식을 획득하도록 하는 것이다. 강의는 이론과 적용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 진행될 예정이다. 첫째 날에는 언어유형론의 이론 및 방법론적 기초를 다지는 순서로서, 언어유형론의 기본 개념 및 역사를 간략히 소개하고, 언어유형론을 다른 이론적 접근과 비교해서 살펴본 후, 비교 개념과 기술 범주의 구별을 제시한다. 이어, 둘째 날과 마지막 날 강의에서는 언어유형론의 접근법을 취한 연구 중 관계절, 자기조응성, 절 연결 등의 주제를 골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언어연구를 위한 Python 프로그래밍 (초급)
    • 시간: 16:15 - 18:45
    • 강사: 윤태진 (성신여대 영어영문학과)
    • 강좌 소개: 코딩은 더 이상 IT 전문가 혹은 공대생만의 전유물이라고 할 수 없으며, 인문학도들도 기본적인 코딩 활용 능력을 함양하여 전공 분야에서 다루는 자료들에 대한 관찰력 및 분석력을 키울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강좌의 목표는 프로그래밍을 배운 적이 없는 참가자들에게 Python 프로그래밍을 기초부터 소개하여 기본적인 Python 언어의 문법을 실습을 통해 익히도록 하는 것이다. Python은 컴퓨터 언어 중 가장 자연언어에 가까워서 배우기 쉽지만, 수치 연산 뿐 아니라 텍스트 처리, 웹서비스, 머신러닝, 자연언어처리와 텍스트 마이닝, 인공지능 등 여러 분야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강력한 인공 언어이기도 하다.
      본 강좌에서는 1) 기본 문법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2) 다양한 모듈 및 라이브러리들의 기본적인 사용법 그리고 3) 문학 혹은 언어학과 같은 언어 연구에서 주로 다루는 비정형화된 텍스트 자료를 다룰 수 있는 방법을 다룬다. 이를 통해 언어학 연구자들에게 컴퓨터를 통한 언어 자료의 처리와 분석 능력을 함양하고, 창의적인 융합 연구능력을 키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2022 LSK-시몬느 언어학 학교

  • 교장단
    • 교장: 이민행 (학회장, 연세대)
    • 명예교장: 박은관 (시몬느 회장)
  • 조직위원회
    • 공동위원장: 김종복 (경희대), 이한정 (성균관대)
    • 위원: 강승식 (국민대), 박명관 (동국대), 손현정 (연세대), 이성범 (서강대), 노강산 (학회 간사)
  • 프로그램위원회
    • 위원장: 송상헌 (고려대)
    • 위원: 구명철 (서울대), 류병래 (충남대), 박시균 (군산대), 오미라 (전남대), 이두원 (한국교통대), 이석재 (연세대), 이성헌 (서울대), 임동식 (홍익대), 장세은 (한국해양대), 전종섭 (한국외대), 조기석 (사이버한국외대), 홍문표 (성균관대)
  • 팜플렛 보기/내려받기
 

여름 언어학 학교

지난 2019년도에 개최된 바 있는 여름 언어학학교의 성과를 이어 올해에도 여름 언어학학교를 준비하였습니다. 아래 사항을 살펴 주시길 바랍니다. 각 강좌에 대한 상세 안내 및 수강 등록은 6월초에 다시 안내드리겠습니다.

  • 일시: 2021년 8월 9일(월) ~ 11일(수)
  • 방식: ZOOM 온라인, 각 수업당 3일간 2시간 30분씩
    • 각 수업당 3일간 3시간씩 (총 9시간)
    • 1교시: 10:00-13:00 / 2교시: 14:00-17:00
    • 학생 수강자는 강좌 종료 이후 출석을 확인하여 수료증을 발급해 드릴 예정입니다.
  • 수강 신청:
  • 등록비는 없으나, 연회비를 납부한 우리 학회 회원(평생회원 포함)에 한하여 수강신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 사항을 참조하셔서 회원가입 및 연회비 납부를 부탁드립니다.
    • 정회원: 입회비 25,000원, 연회비 40,000원
    • 준회원(학생신분): 연회비 20,000원
    • 납부계좌: 국민은행 454101-01-241907 (예금주: 손현정)
  • 강좌 구성 (이론 3과목 응용 3과목)
    • 음성음운론: 오은혜(건국대)
    • 심리언어학: 이은경(이화여대)
    • 의미화용론: 강아름(한경대)
    • 실험통사론: 김경민(고려대)
    • 언어통계: 윤홍옥(제주대)
    • 신경언어학: 남윤주(건국대)
  • 1교시 이론 세션: 음성학(언어습득)
    • 시간: 9:30~12:00
    • 강사: 오은혜(건국대)
    • 강좌소개: 언어습득과 변화에 대한 음성학적 고찰. 본 강좌에서는 말소리의 음향, 음성학적 특징과 변화를 모국어와 제2외국어 습득 과정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언어 습득의 나이, 모국어와 제2 외국어의 차이, 사회적 맥락의 변화 등과 같이 말소리의 지각과 발화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다룬 실험음성학 연구들을 소개하고, 나아가 언어습득과 말소리 연구의 교육학적 의미와 융합적 학문으로서의 가치를 생각해보고자 한다.
  • 1교시 응용 세션: 언어통계
    • 시간: 9:30~12:00
    • 강사: 윤홍옥(제주대)
    • 강좌소개: 실험주의 과학론과 데이터 기반의 통계적 방법론은 실험언어학을 이해하는데 필수적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는 데이터 분석의 핵심 쟁점을 간략하게 조망하고 관련 내용을 숙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제한적이지만 연습용 데이터로 통계 분석을 실행해보는 경험을 쌓도록 할 예정이다. 짧은 시간 안에 전체 과정을 포괄할 수 없기에, 아래와 같은 주제에 맞춰 제한적으로 운영하고자 한다.
      - 1일: 실험 설계는 어떻게 해야 하나? 실험 설계와 관련한 기초 개념을 학습하고, 실제 연구에 사용된 실험 설계를 살펴본다.
      - 2일: 실험 데이터 수집 후, 데이터 정리는 어떻게 해야 하나? 두 변인간의 관계를 파악해보는 ‘상관분석’을 시도해본다.
      - 3일: 두 집단간의 평균비교를 통한 분석을 실험 설계에 맞춰 진행해본다: 평균분석(독립표본 t-검정, 대응표본 t-검정)
      [참고] 통계 프로그램은 R을 사용하여 진행하고자 하니, 다음 링크에서 설명하는 순서에 맞춰, R 혹은 R studio를 사전에 설치해두길 바란다. https://smalldatalab.tistory.com/2
  • 2교시 이론 세션: 의미화용론
    • 시간: 12:30~15:00
    • 강사: 강아름(한경대)
    • 강좌소개: 본 강의는 형식의미론(the study of compositional meaning)과 화용론(the study of interactional meaning)에 대한 기초 강의이다. 주요 목표는 현재 언어 이론 내에서 의미화용론 연구의 핵심적인 기본 개념과 쟁점에 대한 개요를 제시하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첫째, 진리조건, 집합, 명제논리, 술어논리, 양화사, 람다 대수 등 논리 연산을 위한 기본 개념과 형식 체계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둘째, 대화 함축, 전제, 화행 등 소통의 단계에서 발생하는 언어 의미와 역할을 살핀다. 이후 현대 의미화용론의 주요 이슈인 부정극성(Negative polarity), 자유 선택(Free choiceness), (비)한정성((In)definiteness)등에 대한 범언어적 현상을 소개하고 이를 설명하는 다양한 분석 방법을 다룬다.
  • 2교시 응용 세션: 신경언어학
    • 시간: 12:30~15:00
    • 강사: 남윤주(건국대)
    • 강좌소개: 바야흐로 브레인의 시대인 요즘, 언어학 및 심리언어학 분야에서도 뇌 신경적 차원의 논의는 이제는 더 이상 옵션이 아닌 필수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학문적 흐름에 발 맞추고자 본 강의에서는 신경 언어학에 관심을 가지는 초심자 및 전공자들을 위한 내용들로 강의를 구성하였습니다. 첫째 날 강의에서는 1) 신경언어학이란 무엇이며(여타 언어학 분야와의 차이점) 어떻게 시작되어 발전해 왔는지, 2) 신경언어학에서 주로 사용하는 방법론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소개합니다. 둘째 날 강의에서는 1) 신경언어학 방법론의 ‘꽃’이라고 할 수 있는 뇌파측정기법(EEG)의 원리 및 뇌파측정방법에 대하여 소개하고 2) 뇌파 데이터의 두 가지 분석 방법 중 주파수(frequency analysis) 분석 방법론과 이를 이용한 주요 언어학 연구들에 대해서 살펴봅니다. 마지막 셋째 날 강의에서는 뇌파 데이터의 분석 방법 중 두 번째 방법론에 해당하는 사건관련전위(ERP, Event-related potential) 분석 방법론에 대하여 소개하고, 2) 한국어 관련 ERP 연구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봅니다. 강의의 내용은 참여자의 수준 및 이해도에 따라 약간의 조정이 있을 수 있으며, 수업은 교강사가 준비한 PPT 슬라이드로 진행할 예정입니다. 다른 강의들에 비하여 다소 어렵게 느껴지는 부분들이 있을 수 있으나, 언어학에 대한 열정으로 기꺼이 극복하실 준비가 되어 있는 많은 학생들의 참여를 기대합니다!
  • 3교시 이론 세션: 심리언어학
    • 시간: 15:30~18:00
    • 강사: 이은경(이화여대)
    • 강좌소개: 이 수업은 심리언어학(psycholinguistics) 입문 수업입니다. 학부 고학년 또는 대학원 개론 수업 정도의 난이도로 심리언어학에서 다루는 주요한 현상을 다룹니다. 아직 심리언어학을 배우거나 관련 연구를 깊이 해보지 않은 석, 박사 과정 학생이나 관심있는 다른 분야 선생님들께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강의를 구성할 예정입니다. Visual word recognition, speech perception, word processing, sentence comprehension, sentence production 등의 영역에서 다뤄온 주요 현상들과 대표적인 연구 결과를 선별해 살펴볼 예정이며, sentence processing부분에 조금 더 시간을 할애할 예정입니다. 수업은 슬라이드 자료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며, 교재는 별도로 지정하지 않고 수업 중 필요한 경우 참고 논문이나 서적을 알려드릴 계획입니다.
  • 3교시 응용 세션: 실험통사론
    • 시간: 15:30~18:00
    • 강사: 김경민(고려대)
    • 강좌소개: 본 워크숍에서는 먼저 실험 통사론(experimental syntax) 연구의 최근 동향, 그리고 실험 통사론 연구가 갖는 의의 및 필요성 등에 대해 간단히 논의를 해보고, 또한 최근 해외 저널에 소개된 한국어 통사 실험 연구들(e.g., Han et al. 2020, Kim et al. 2020)을 살펴봄으로써, 실험 통사론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함께 가져볼 예정입니다. 또한, “코로나 시대”의 장기화로 인해 더욱 관심을 받고 있는, 비대면 실험 진행을 가능케 해주는 온라인 실험 플래폼들(Ibex Farm 혹은 Google Survey)에 대해 살펴보고, 실제 해당 플래폼들을 이용해, 간단한 진리가치판단(truth-value judgment) 실험 그리고 리커트 스케일 (Likert scale)을 이용한 수용성 판단(acceptability judgment) 실험을 디자인해보고 실행하는 과정을 함께 살펴보고 배워볼 예정입니다.
  • 주최/주관:
    • 한국언어학회
    • 성균관대 영어영문학과 4단계 BK21 교육연구단
  • 후원:
    • 한국연구재단 일반공동사업 연구과제 [딥러닝 모델에 기반한 한국어 언어 능력 탐구]
  • 조직위원회 (7인)
    • 공동위원장: 김종복 (경희대), 이한정 (성균관대)
    • 위원: 이민행 (연세대), 송상헌 (고려대), 오은진 (이화여대), 손현정 (연세대), 노강산 (학회 간사)
  • 프로그램위원회 (22인)
    • 위원장: 박명관 (동국대)
    • 위원: 강승식 (국민대), 구명철 (서울대), 류병래 (충남대), 오미라 (전남대), 이두원 (한국교통대), 이석재 (연세대), 이성범 (서강대), 이성헌 (서울대), 장세은 (한국해양대) [부회장 9인] 박시균 (군산대), 홍문표 (성균관대), 임동식 (홍익대), 조기석 (사이버한국외대), 전종섭 (한 국외대) [수석 상임이사 5인] 고희정 (서울대) , 권익수 (한국외대), 남혜현 (연세대), 박범식 (동국대), 이선영 (사이버한국 외대), 이정훈 (서강대), 최영주 (조선대) [상임 연구이사 7인]
  • 이번 여름 언어학학교는 우리 학회 2021년 여름 학술대회와 연계하여 진행됩니다.
    • 일시: 2021년 8월 12일(목)
    • 방식: 온라인
    • 6월 5일까지 논문 초록 모집중(hanjung@skku.edu)
  • 팜플렛 보기
 

2021 언어학 국제학술대회 및 신진 연구자를 위한 심포지엄

2021 International Conference on Language & Cognition in conjunction with Symposia for Young Researchers in Linguistics
2021 언어학 국제학술대회 및 신진 연구자를 위한 심포지엄

안녕하십니까? 다음과 같이 2021 언어학 전반에 걸친 국제학술대회 및 신진연구자를 위한 심포지엄을 개최하고자 합니다.

  • 날짜: 2021년 8월 12일(목)
  • 장소: 온라인
  • 주관: 한국언어학회

본 학술대회는 언어, 인지, 코퍼스, 실험언어 분야의 세계적 명성을 가진 초청연사 특강 및 일반 논문발표로 구성된 국제학술대회와 더불어 신진연구자를 위한 심포지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특히 5개의 심포지엄은 국내외신진학자(대학원생 및 포닥)들의 발표와 해외초청연사와 국내저명학자의 피드백 및 토론으로 구성됩니다. 이는 국내 신진학자들이 외국저명학자들과 학문적 교류를 통해 국제화 역량 제고와 네트워크 형성을 돕기 위한 것입니다. 현재 초청이 확정된 외국저명학자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Manfred Krifka (Humboldt University)
  • Martin Hilpert (Université de Neuchâtel)
  • Javier Pérez-Guerra (University of Vigo)
  • Rui Chaves (SUNY at Buffalo)
  • Mark Davies (BYU)

이들 외국초청학자와 국내저명학자들이 함께 commentator 역할을 담당할 심포지엄은 다음과 같이 계획하고 있습니다.

  • Symposium 1: Semantics/Pragmatics/Experimental Linguistics (Commented by Manfred Krifka & 국내저명학자)
  • Symposium 2: Cognitive grammar, Historical linguistics, experimental linguistics (Commented by Martin Hilpert & 국내저명학자)
  • Symposium 3: Language Variation and Textual Categorisation. corpus linguistics (Commented by Javier Pérez-Guerra & 국내저명학자)
  • Symposium 4: Syntax, Syntax-semantics interface, experimental linguistics (Commented by Rui Chaves)
  • Symposium 5: Corpus linguistics, metaphor (on corona virus), language variation (Commented by Mark Davies)

학술발표 희망 접수:

이들 심포지엄에 발표를 희망하는 신진학자를 모집합니다. 이름, 소속, 직위(석박사포닥), 발표가제, 희망심포지엄(예: 심포지엄1)을 11월 17일(월)까지 학회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연구가 초기 단계라도 가능하기에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상기 외국인 초청학자들이 Plenary speaker로 참여하는 국제학술대회를 위한 회원 여러분들의 일반 논문/포스트 발표도 신청을 받습니다.

 

2020 LSK Virtual Colloquium

2020 LSK Virtual Colloquium

  • Cedric Boeckx (ICREA): How (not) to approach the twin problems of language acquisition and evolution



  • Harald Clahsen (Potsdam Research Institute for Multilingualism): Morphological constraints in language processing and language acquisition

    2020 LSK Virtual Colloquium



  • Stefan Evert (Friedrich-Alexander Universität Erlangen-Nürnberg): Recent methodological insights for word frequency data: keywords and lexical diversity

    2020 LSK Virtual Colloquium



  • Jason Rothman (UiT The Arctic University of Norway): Additive Multilingual Acquisition and Linguistic Transfer: State of the science and methodological issues

    2020 LSK Virtual Colloquium

 

언어학학교 2019

LSKLS 2019

Summer School 2019
 

언어학학교 2018

LSKLS 2018

SICOL2010
 

WCSEL-1 (2012)

WCSEL-1 (2012)

SICOL2010
 

HPSG 2012

HPSG 2012

SICOL2010
 

SICOL 2010

SICOL 2010

SICOL2010
 

SICOLI 2009

SICOLI 2009

SICOLI 2009
 

CIL XVIII (2008)

CIL 18

CIL XVIII
 

LSK | 한국언어학회
  • 회장: 김종복 (경희대학교)
  • 총무이사: 박동우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재무이사: 이주원 (전주대학교)
  • 편집위원장: 오은진 (이화여자대학교)
사무국
  • [우편번호: 02447]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경희대로 26, 경희대학교, 네오르네상스관
    언어정보연구소
  • Phone: +82-2-961-0211
  • Email: lsk202324@gmail.com
재무국 및 학회 계좌
  • [학회 계좌]
    우리은행 1002-363-787147
    (예금주: 이주원, 한국언어학회)
  • Phone: +82-2-2123-2348
  • Email: juwonlee@jj.ac.kr
편집위원회
  • [우편번호: 03760] 서울 서대문구 이화여대길 52, 이화여자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오은진 교수 연구실
  • Phone: +82-2-3277-3357
  • Email: ejoh@ewha.ac.kr